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블록체인

블록체인, 개인키와 공공키

 

 

블록체인의 핵심요소로는

분산화된 구조, 장부의 다자간 공유, 암호화된 연결을 들 수가 있다.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인 블록체인은 블록체인은 암호화 기술을 근간으로 한다.

 


만약 블록체인을 해커가 공격한다면 어떨까?

해커가 공격 할 수는 있지만 소수인물이나 세력에 의해 조작 되고 해킹하기 어렵다.


해킹에 대한 기회비용이 너무 비싸다.

성공확률이 거의 희박해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해커는 해당 네트워크의 여러 컴퓨터를 동시에 해킹해야 하며

이러한 해킹에는 엄청난 컴퓨팅 파워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의 암호화 기술 중 보안 체계를 살펴보자.

블록체인에는 캐인키와 공공키가 있다.  


이전에 알던 우리의 보안체계의 예로 인감 제도나 공인인증서가 있다.

인감이나 공인인증서는 중앙집권화된 기관이 관리하고 효력을 보증했다.


하지만 거래계약에 대해 모든 사람의 거래장부에 관리한다면 중앙집권없이도

장부 위변조가 불가능해진다.

우리가 쓰는 공인인증서와의 차이는 공인인증서가 ‘인증키’를 하나만 사용하는 대칭형인반면

블록체인은 공공키와 개인키 두개를 사용하는 비대칭형이라는 점이다.


블록체인에서 공공키는 모두에게 공개된다.

개인키는 말그대로 개인만 가지고 있다.

그래서 금융기관이 관리하는 공공키를 해커는 해킹할 이유가 없어진다.


그래서 어떤 전문가들은

블록 체인이 인터넷이 인류의 삶을 바꾼 것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한다.

해킹이 어려운 인증시스템이 블록체인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다시 블록체인의 ‘개인키’와 ‘공공키’ 개념으로 돌아가보자.


개인키 (Private Key)는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갑에 접근하도록 하는 코드 혹은 데이터다.

예를 들어 은행카드계좌에 접근가능한 비밀번호와 같다.

개인키는 암호화폐 지갑 접근권을 제공한다.

그래서 개인키는 잃어버리지 않고 잘 관리해야 한다.

타인과 공유하면 절대 안된다.

개인키만 알고 있으면 누구나 해당 지갑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키를 다른 사람이 안다는 건, 집 대문을 활짝 연 것과 같다.


공공키 (Public Key)는 은행 계좌번호와 유사하다.

공공키와 개인키가 결합할 때 지갑에 있는 펀드에 접근할 수 있다.  

누군가에게 돈을 받아 지갑에 넣고자 할 때 우리는 공공키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지갑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공공키가 개인키와 짝을 이뤄야 한다.  


암호화폐에서 서명(Signature)은

거래를 진행하고 펀드에 접근할 수 있는 소유권, 권한 등을 입증하기 위한 수학적 방법이다.


비트코인에서 거래에 서명할 떄 개인키와 공공키가 서로 맞아야 한다.

이에 대한 일치함을 검증하는 것은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한다.


비트코인은 거래 서명 시, 타원 곡선 전자서명 알고리즘 (ECDSA)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거래소는 어떨까?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코인을 거래 시 거래소가 중앙집중화된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라면?

해커 공격을 당했을 때 위험할 수도 있다.


그래서 거래소를 고를 때

이 곳이 안전한 거래소인가 아닌가를 판별할 여러 요소 중 한 가지는

거래소 시스템이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인가 아닌가를 염두에 두고 고르면 좋겠다